Research Article

30 April 2019. pp. 133-159
Abstract
The market for web novels is growing every year. Although there is constant discussion of web novels, there is no accurate definition of media and attributes. In this book, we want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web novel's character as a media transition, which has changed the way it is viewed and read as a popular novel. Romance Web novels are eventually adding genre attributes through a platform that the romance genre is a web novel. The market for romance web novels is growing. It should be noted that adult romance web novels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he profits. To this end, we wanted to look at where the sexiness in adult romance web novels is coming from. It noted that the nature of romance web novels for adults is inherited from popular novels, and that the popularity of newspaper-released novels and the sexiness of magazine-released novels have been continuously revealed in Korean literary circles. Since then, the no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60s shows sexual desire of women, which is similar to the current romance web novel. Also, writers such as Park Kyung-ri and Kang Shin-jae, who conducted newspaper series, have also been in fashion because they are short-lived and lack of discussion over their popularity. This part of the project was to look at continuity, which is a common character but has a popular popularity. Adult romance web novels should also note that the speaker of sexuality has become a woman. The woman is showing her own desires. Let's look at how the feminine sexuality of adult romance web novels is expressed.
웹소설의 시장은 매년 성장하고 있다. 웹소설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매체와 속성에 대해서는 정확한 정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웹소설 성격의 기원을 대중소설로 보고 읽히는 방식이 변화한, 매체 전환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로맨스 웹소설은 결국 로맨스 장르가 웹소설이라는 플랫폼을 통해 장르적 속성을 더하고 있다. 로맨스 웹소설 시장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때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이 수익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에서 나타나는 섹슈얼리티가 어디에서 기인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의 성격을 대중소설로부터 이어받고 있으며 신문연재소설의 통속성과 잡지연재 소설 속의 섹슈얼리티는 지속적으로 한국 문단에서 드러나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후 60년대 여대생 소설에서는 여성이 직접 여성의 성적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는 지금의 로맨스 웹소설과 비슷한 섹슈얼리티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신문연재를 진행한 박경리, 강신재와 같은 작가 또한 섹슈얼리티를 그리고 있으나 기간이 짧고 인기에 비해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유행에 그치고 말았다. 이러한 부분을 살펴 통속적인 성격이지만 대중적 인기를 지니고 있는 연속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은 또한 섹슈얼리티의 화자가 여성이 되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여성이 직접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의 여성적 섹슈얼리티는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References
  1. 김경애, 『로맨스 웹소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2. 김봉석 ‧ 강상준, 『웹소설 작가 입문』, 북바이북, 2017.
  3. 김은하, 「비밀과 거짓말, 폭로와 발설의 쾌락 : 국가 근대화기 여성대중소설의 선정성 기획을 중심으로」, 『우리문화』 제2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4. 김창식, 「연애소설의 개념」, 대중문학학회, 『연애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8.
  5. 노희준, 「플랫폼 기반 웹 소설의 장르성 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 64권, 세계문학비교학회, 2018.
  6. 대중서사장르연구회,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이론과 실천, 2007.
  7. 마리 로어 라이언, 조애리, 이봉지 역, 『스토리텔링의 이론, 영화와 디지털을 만나다』, 한울아카데미, 2014.
  8. 박수정, 유오디아 외 4인, 『도전! 웹소설 쓰기』, 폭스코너, 2016.
  9. 박철우, 「신문연재소설 100년, 그 의미와 과제」, 『한국문예창작』 제1권제1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02.
  10. 심진경, 『한국 문학과 섹슈얼리티』, 소명출판, 2006.
  11. 에바 일루즈, 김희상 역, 『사랑은 왜 불안한가?』, 돌베게, 2014.
  12. 오기 오가스, 사이 가담, 왕수민 역, 『포르노 보는 남자 로맨스 읽는 여자』, 웅진지식하우스, 2011.
  13. 오혜진, 「대중소설론의 변천과 의의 연구」, 『우리문학연구』22, 우리문학회, 2007.
  14. 윤진, 『호모 드라마쿠스』, 살림, 2008.
  15. 이영미,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장한몽에서 모래시계까지』, 푸른역사, 2016.
  16. 이인, 『성에 대한 얕지 않은 지식』, 을유문화사, 2017.
  17. 이주라, 「음란 소녀 탄생기」, 『대중서사연구』 제24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18.
  18. 이주라 ‧ 진산, 『웹소설 작가 입문-로맨스』, 북바이북, 2016.
  19. 조은정, 「1960년대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와 대중성」, 『우리문화』 제2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20. 존 스토리, 박만준 역, 『대중문화와 문화이론』, 경문사, 2017.
  21. 최미진, 『한국 대중소설의 틈새와 심층』, 푸른사상, 2006.
  22. 최배은, 「한국 웹소설의 서술형식 연구」, 『대중서사연구』 23권 1호, 대중서사학회, 2017.
  23. 한국콘텐츠진흥원, 『IP비즈니스 기반의 웹소설 활성화 방안』, 2018.
  24. 한혜원,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여성의 창작-로맨스 웹소설을 중심으로」, 『인간연구』34,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17.
  25. 한혜원, 김유나, 「한국 웹소설의 멀티모드성 연구」, 『대중서사연구』 제21권 1호, 대중서사학회, 2015.
  26. 한혜원 ‧ 정은혜, 「한국 웹 기반 여성소설에 나타난 서사적 특성 연구」, 『한국문예창작』 14, 한국문예창작학회, 2016.
  27. 허윤, 「‘여대생’ 소설에 나타난 감정의 절대화 : 최희숙, 박계형, 신희수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40권, 역사문제연구소, 2018.
  28. 「카카오페이지, ‘19금’ 없이 성장한 비결은」, 『뉴시스』, 2016년 12월 28일자.
  29. 「이미 거인된 ‘웹툰’ 따라 쑥쑥 크는 ‘웹소설’」, 『매일경제』, 2016년 12월 07일자.
  30. 「‘19금’ 국내서 통할까… 영미권서 선풍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경향일보』, 2012년 8월 27일자.
  31. 네이버 웹소설, https://novel.naver.com/webnovel/weekday.nhn
  32. 로맨시안, http://www.romancian.com/index.php?mid=news003&page=3& document_srl=7971
  33. 북팔, http://www.bookpal.co.kr
  34. 텍스트릿, http://textreet.net/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15
  • No :0
  • Pages :133-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