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15

Research Article

30 April 2019. pp. 7-39
Abstract
Trail-walking has been established as a major cultural content for travel and health. A lot of walking trails such as Ollegil, Dullegil, etc. have been built, and the proposal of building ‘Korea Dullegil’ at the level of a national policy was made. But there have been no basic questions, such as ‘What kind of way is this?’, ‘What people is it that walk?’, ‘Why do they walk?’, and ‘How is it that they should walk?’, raised yet. Instead, in most local governments, the authorities concerned have paid attention to the economic gains, such as promoting tourism in the regions, through building trails. In this paper, the present writer will consider ‘the nature and the meaning of Way’ in the first place and then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Gyeonggi-yetgil(the old routes in Gyeonggido Province).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on, the vision and the way of restoring the Gyeonggi-yetgil will become clear in conclusion.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reviewed, Way has the whole significance beyond the sense of a specific physical space for walking. It contains not only the abstract itinerary of the past times, the journey of life of the past people, the lifestyles and methods of the people, but it contains philosophical attitudes and norms on which the principles originated from such times and people have been projected, as well. In addition, we could tell that in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of Way is implemented the principle of Lao Tzu, who said that people learn from the earth, the earth learns from the sky, and the sky follows Tao(道) and Tao(道) learns from the nature. In the history of Way, which has embodied such principle of the nature, have been inscribed the functions fulfilling biological, social, political, cultural, philosophical, and religious desires of human beings. In terms of the natural ecology conditions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Gyeonggi’, the Gyeonggi-yetgil(the old trails in Gyeonggido Province) will be the space functioning as the basic roads radiating toward all directions in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Moreover, it will be the way to spiritual enlightenment or the way to wisdom in terms of the implication of old routes. Therefore, the Gyeonggi-yetgil will establish itself as the old routes of wisdom in Gyeonggido Province,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function as the basic routes radiating toward all directions and make way to the future through the nature and the history condensed in itself. The vision of the Gyeonggi-yetgil will consist in paving way for the current that to consolidate its identity the owners of the routes build ‘the basic routes radiating toward all directions’ of their own accord. For this sake,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ecology, such as network, diversity, circularity, systemicity, and development potential,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routes. The Gyeonggi-yetgil should promote the network and the circularity between society and ecosystem, and enhanc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routes through bringing itself to political, cultural, and philosophical issues on the basis of its history and the nature. In addition, the system of the value, philosophy, knowledge, and methodology of walking should be developed, and by means of that system the Gyeonggi-yetgil should serve as a future-oriented and developmental role model. Specifically, a positive outlook and understanding for natural ecology such as historic great aged trees and traditional ecology in the Gyeonggi-yetgil is necessary. And it should contain not only a variety of ‘trail schools’ but also ‘the route for healing and meditation’, ‘the route to peace’ for overcoming ‘the Northern Limit Line of thinking’ and ‘the feminine-friendly route’ in gender perspective, etc.
국문초록 길 걷기가 여행과 건강 등의 중요한 문화콘텐츠로 자리잡았다. 이는 올레길, 둘레길, 숲길 등 각종 지역 브랜드와 명칭의 500여개의 1200여개의 걷는 길 코스가 이를 반증한다. 그러나 길 문화콘텐츠들이 대체로 ‘이 길이 어떤 길인가?’, ‘왜 걷는가?’, ‘누가 걷는가?’, ‘어떻게 걸을 것인가?’와 같은 이런 근본적인 의미의 기능이 탑재된 것이 아니라 대체로 막연한 지역관광활성화의 경제성 측면이 더 부각되어 보인다. 본고는 우선 ‘길의 본질과 의미’를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경기옛길의 정체성을 규명해 보는 가운데, 길의 의미에 정초한 비전과 방향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검토한 바로는, ‘길’은 구체적인 물리적 공간의 이동을 위한 걷는 길은 물론, 추상적인 시간이 담긴 여정, 생활양식과 방법, 나아가 철학적인 태도와 규범 등 세상의 총체적 원리를 포함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호프스테드의 문화 이해에 따른 상징과 의례, 영웅과 가치의 측면을 걷는 길에 적용하여, 우선 걷는 길의 문화적 표층인 상징과 명칭을 이해하기 위해 경기옛길의 의미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경기’의 자연 생태적 조건과 역사적 의미로 볼 때 한반도의 중심에서 사방의 근본기능을 수행하는 곳이 되며, ‘옛길’의 종교적 함의가 주는 측면에서는 깨달음의 길, 지혜의 길이라는 의미를 확인했다. 따라서 경기옛길은 ‘한반도에서 사방의 근본이 되는 경기의 길로서 길에 응축된 자연과 역사를 통해 미래를 열어가는 지혜의 옛길’이라는 정체성을 갖는다. 경기옛길의 비전은 이 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길의 주인들이 길을 세워 ‘사방의 근본’이 되는 길을 열어가는 데 있다. 도(道)는 자연에 정초하여 이루어진다고 이해할 때, 길의 역사와 기능 역시 자연의 원리 속에 구현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방법론으로서 생태계의 근본원리를 적용할 때, 관계성, 다양성, 순환성, 체계성, 발전성이 길 속에 구현되어야 한다. 경기옛길은 역사와 자연을 기반으로, 정치적, 문화적, 철학적 이슈들을 사회생태계와의 관계성과 순환성의 증진을 통해 길의 입체성을 높여야 한다. 아울러 걷기의 가치와 철학, 지식과 방법론의 체계성을 갖고 미래지향적이며 발전적인 모델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경기옛길에서의 역사가 포섭된 노거수와 전통생태 등의 자연에 대한 깊은 천착과 이해가 필요하며, 방법적으로 다양한 ‘길학교’, ‘치유와 명상의 길’, ‘사유의 북방한계선’을 극복하는 ‘평화의길’, 성인지적 관점의 여성성을 높이는 길도 포함된다. 걷는 길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아직까지 걷는 길에 관한 문화 ‘상징’과 ‘스토리’의 인식 수준에서 나아가 의례와 가치의 인식을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강내희, 『길의 역사』, 문화과학사, 2015.
  2. 경기도, 『경기지오그라피』, 2006.
  3. 김명수 ‧ 박정은 ‧ 최영국 ‧ 정소양, 「江·山·海를 잇는 국토녹색길 조성」, 『국토정책 Brief』 227호, 국토연구원, 2009.
  4. 김종혁, 「[옛 길을 따라] 역사에서 ‘길’이란 무엇인가」, 역사비평 68권, 역사비평사, 2004.
  5. 레베카 소닛, 김정아 역, 『걷기의 역사』, 민음사, 2003.
  6. 마샬 맥루언, 김성기·이한우 역,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02.
  7. 문화체육관광부·한국관광개발 연구원, 『걷기여행길 통합관리·운영 가이드라인 연구』, 2004.
  8. 박정원, 『내가 걷는 이유』, 조선뉴스프레스, 2015.
  9. 선묵혜자, 『살아있는 동안 꼭 읽어야 할 부처님 말씀 108가지』, 아침단청, 2013.
  10. 심승구, 「경기(京畿)를 통해 본 서울의 정체성」, 서울학연구 58권, 서울학연구소, 2015.
  11. 여성조선, 『등산전문기자들이 직접 다녀온 명품 둘레길 33선』, 2014
  12.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이기숙 역,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13. 유제상, 『문화콘텐츠학 강의』, 컨텐츠하우스, 2017.
  14. 이기상, 「문화콘텐츠학의 이념과 방향」, 『인문콘텐츠』 제23권, 인문콘텐츠학회, 2011.
  15. 임대근, 「문화콘텐츠 개념 재론再論」, 『글로컬창의문화연구』 제4권,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4.
  16. 전상인, 『공간으로 세상읽기-집 ‧ 터 ‧ 길의 인문사회학』, 세창출판사, 2017.
  17. 조창연,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18. 크리스토프 라무르, 고아침 역, 『걷기의 철학』, 개마고원, 2017.
  19.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역사문화로 개발실태 및 활성화방안』, 2014.
  20. 한국니트산업연구원, 『국내 아웃 도어 현황 조사 및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한국아웃도어산업협회, 2014.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15
  • No :0
  • Pages :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