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30 April 2020. pp. 119-152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attitude of female speakers appearing in the lyrics of Korean girl group music. This study diachronically analyzed how women accommodate and talk about their dating experiences and looked into how speakers' attitudes have transformed in the flow of time. For this aim, this study understood the main femininity in the Korean popular music of the past based on previous studies. Next, 186 girl group songs, which were largely popular between 1998 and 2019, were selected as the study objects. They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themes 'prior to being in a relationship', 'in a relationship', 'separated', and so 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categories based on the attitudes of female speakers have been derived. This study aimed to capture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of female speakers’ attitudes reflected in girl group music by analyzing which changes the categories supported by the public have gone through in the flow of time. As a result, it has been identified that women appearing in girl group music were being described as overcoming passive and subordinate femini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made the first diachronic attempt toward girl group musi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nsight toward gender consciousness changes in the Korean society and contribute to generating K-pop contents matching the demands of the public.

본 연구는 한국 걸그룹 음악 가사에 나타나는 여성 화자의 태도에 주목한다. 곡 중 등장하는 여성이 자신의 연애 경험을 어떤 방식으로 수용 및 발화하는지에 대해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화자의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과거 한국 대중음악에 나타나는 주된 여성성이 무엇인지 이해하였다. 그 후 본 연구의 대상으로 1998년부터 2019년 사이 대중들의 큰 지지를 얻은 걸그룹 음악 186곡을 선정하였다. 이를 ‘연애 전’, ‘연애 중’, ‘이별’ 등의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고, 각 주제 안에서 여성 화자의 태도에 따른 유형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대중들이 지지하는 유형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겪어왔는지 분석하여 걸그룹 음악에 반영된 여성 화자 태도의 변화 양상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걸그룹 음악에 등장하는 여성의 모습은 수동적이고 종속적인 여성성을 극복하는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걸그룹 음악에 대한 통시적 접근을 최초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 사회의 젠더의식 변화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대중들의 시대적 요청에 부합하는 케이팝 콘텐츠의 창출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References
  1. 김수아, 「소녀 이미지의 볼거리화와 소비 방식의 구성: 소녀 그룹의 삼촌 팬 담론 구성」, 『미디어,젠더&문화 』 제15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2. 김정원, 「“Hey 이젠 날 봐봐 Mister”: 2000년대 한국 걸그룹의 시각화(visualization)와 성애화(sexualization)에 관한 고찰」, 『대중음악 』 통권 8호, 한국대중음악학회, 2011.
  3. 박범종, 「대중가요로 읽어내는 정치와 시대상」, 『동북아 문화연구 』제45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5.
  4. 박애경, 「한국 대중음악에 나타난 대안적 여성성: 언더그라운드 음악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 제10권 제2호, 대중서사학회, 2004.
  5. 배샛별, 이승연, 「일제 강점기 사랑과 이별 소재 대중가요 가사 속 여성 지칭 명사의 특징」, 『대중서사연구 』 제22권 제3호, 대중서사학회, 2016.
  6. 윤선희, 「신 한류 수용의 문화적 맥락과 여성적 정체성에 대한 문화 연구」, 『한국방송학보 』 제26권 제2호, 한국방송학회, 2012.
  7. 윤성희, 김영한, 「1970년대 대중문화와 여성의 재현: 대중음악 음반의 영상 기호 분석」, 『한국방송학보 』 제19권 제3호, 한국방송학회, 2005.
  8. 이나영, 「여성혐오와 젠더차별, 페미니즘 : '강남역 10번 출구'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 통권 제22호,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9. 이동순, 「한국 근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여성성의 실태 연구」, 『동북아 문화연구 』 제20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10. 이영미, 「1950년대 대중가요의 아시아적 이국성과 국제성 욕망」, 『상허학보 』 제34집, 상허학회, 2012.
  11. 이은진, 「1930년대 유행가에서 나타나는 정형화된 여성성: 근대적 젠더규범에 대한 음악적 해석」, 『음악사연구 』 2, 음악사연구회, 2013.
  12. 이은진, 「유혹하는 여성: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서 재현된 여성의 욕망과 섹슈얼리티」, 『대중음악 』 통권 20호, 한국대중음악학회, 2017.
  13. 장규수, 김태룡, 「케이팝의 선정성과 흥행효과에 관한 연구: <내일은 없어>와 <마리오네트>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 제18호,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5,
  14. 장유정, 「1970-80년대 한국 대중가요 가사의 특징: 공중파 방송 인기곡을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 제24호, 한국공연문화학회, 2012.
  15. 정윤수, 「걸그룹을 둘러싼 모험: 위험사회에서 살아남기」, 『대중음악 』 통권 8호, 한국대중음악학회, 2011.
  16. 존 스토리, (Cultural studies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박만준 역,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 』, 경문사, 2002
  17. 키스 니거스, (Popular music in theory : an introduction), 송화숙 외 역, 『대중음악이론 』, 마티, 2012, 72쪽.
  18.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18 한류백서 』, 2019.
  19. 「‘여성혐오’ 먹고 사는 아이돌 산업, ‘탈덕’ 만이 답인가요?」, 『오마이스타 』 2018년 7월 4일자 기사, http://star.ohmynews.com/(검색일 2019년 12월 30일).
  20. 「테마 브리핑 - 세상을 움직이는 마이크로 트렌드 여성소비에 주목하라: (1) 대포여신을 아십니까?」, 『삼성데일리 』, 2016년 5월 20일자.
  21. 「‘음원시장’ SKT 돌풍…네이버 제치고 3위 약진」, 『한국경제 』 2019년 1월 13일자 기사, https://www.hankyung.com/(검색일 2019년 10월 3일).
  22. 「[분석is] ‘아이돌’ 7년의 법칙…배우도 예외는 아니다」, 『중앙일보 』, 2016년 6월 13일자 기사, https://news.joins.com/article/(검색일 2020년 2월 2일).
  23. 「[문화기획] 워너원·트와이스… 3세대 아이돌 그룹의 진화 DNA」, 『중앙시사매거진 』, 2017년 11월 17일자 기사, https://jmagazine.joins. com/monthly/view/(검색일 2020년 2월 2일).
  24. 홈페이지 및 기타
  25. 멜론, https://www.melon.com/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18
  • No :0
  • Pages :119-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