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30 April 2019. pp. 105-132
Abstract
Nowadays webtoon is one of the most attractive contents that seems the next generation Hallyu runner. Also, webtoon in korea is more and more development and famous. So, we can find webtoon based TV dramas and films easily. There are so many studies on webtoon based reformatting films and dramas. But only few studies focused on Character reformatting. This study is about ‘Meaning of Character development of Webtoon dramas in reforming’. Unlike most previous studides this study focused on charcater-reforming. In the reforming , the structure of characters are changed to each media’s characteristics. This story shows the character changes. This study analyzed factors which can affect reforming. For example while the drama, the narration and conflict can be simplified in the process of reformatting through the omission of some characters. This study analyzed characaters in ‘Gangnam miin’ that is one of the most recently produced drama based in webtoon. For this analyzation, at first, it is explained that what the difficulties among the TV drama media and webtton. Next, using character synchronization theory as a methodology the planning and analysis of storytelling, the characters are analyzed.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eforming affected the character change so much. This study show how the characters in webtton changes the characers in drama. Main characacters and supporting role have the different chang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ain characacters and supporting role needs each demands. This is the try of the research about character change, so it is hope of more follow-up research involved in characater change.
‘웹툰’은 차세대 한류 주자로 지목되며 해외 진출이 모색되고 있을 만큼 영향력 있는 문화콘텐츠다. 매체 전환 및 OSMU의 원천 콘텐츠로 크게 주목받고 있는 만큼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웹툰의 매체변환 연구가 주로 영화화와 서사구조의 변용에만 치우쳐있다는 점에 착안, 매체변환 연구 중 상대적으로 미진한 ‘웹툰의 드라마화 과정에서 캐릭터 유형의 변용’을 연구한 시도이다. 본고에서는 동명의 웹툰이 드라마로 전환된 실제사례를 토대로 웹툰이 드라마로 매체 변환된 경우에 캐릭터 유형이 어떻게 변용되는지 살펴보고 그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웹툰과 드라마의 매체의 특성을 내재적 ‧ 외재적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에 기반하여 매체 전환 시 동일한 캐릭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양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웹툰의 드라마 매체전환 과정에서 서사구조나 캐릭터 프로필의 변화 뿐 아니라 캐릭터 성격의 변화도 다양한 양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동일한 캐릭터가 같은 서사를 진행하는 매체 전환 과정에서 매체의 내외적인 차이가 특히 주연캐릭터 유형의 표층 양상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길이와 시간의 제약을 갖는 영화로의 매체 전환 과정에서 설득력 있는 캐릭터를 재연해내기 위해서는 주연 캐릭터의 기초 성향과 표층 양상을 스토리시간과 담화시간의 적절한 배치가 요구될 것은 물론이며, 조연 캐릭터에서는 캐릭터로서의 첨예한 기초 성향 및 표층 양상 재연 및 설정이 있어야 주연 캐릭터의 보조가 아닌 개별 캐릭터로서의 타당성이 입증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하나의 작품을 대상으로 분석했지만 많은 사회적 담론을 제시하고 있고 드라마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배경인 일상생활을 묘사한 작품을 선택함으로써 서사의 차이에서 오는 특수성을 최대한 배제하고 보편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References
  1. 김경애, 「웹소설의 전용과 재매개 양상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1권 4호, 한국문학이론학회, 2017.
  2. 김용희, 「웹툰의 영화화 과정에서 나타난 매체전환 변이점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4권 1호. 한국문학이론학회, 2016.
  3. 블라디미르 프로프, 어건주, 『민담 형태론』, 지식을 만다는 지식, 2013.
  4. 안숭범, 「스토리텔링 기획 ‧ 분석 방법론으로서 ‘캐릭터 동기화 이론’ 연구- 〈도둑들〉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51호, 인문콘텐츠학회, 2018.
  5. 윤혜영, 「강도하 웹툰 <세브리깡>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애니메이션 연구』 제6권 3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0.
  6. 옥은희, 「에피소드 웹툰의 매체 전환에 따른 서사구조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8.
  7. 이승진, 「<전설의 주먹> OSMU 가치 측정 연구」, 『애니메이션 연구』 제9권 제2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8. 이현정, 「<치즈인더트랩>을 통해 본 웹툰의 매체변환에 대한 이용자 반응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 27호,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9. 장기오, 『장기오의 TV드라마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10. 정혜지, 「웹툰에서 드라마로 매체전환시 캐릭터 변화 연구- <냄새를 보는 소녀>를 중심으로 - 」, 『영상문화콘텐츠연구』 제9호,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5.
  11. 채희상, 「웹툰의 매체전환 과정에 관한 연구 : <은밀하게 위대하게>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연구』 제10권 제2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12. 크리스토퍼 보글러, 함춘성,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비즈앤비즈, 2013.
  13. 한혜경, 「웹툰 OSMU의 방향성과 전략 연구」, 『애니메이션 연구』 제11권 3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14. 후루카와 유미 ‧ 김경희, 「웹툰을 활용한 드라마 제작의 매체 전환에 관한 연구」,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동계학술대회』,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15. 「스마트폰, TV, 라디오 제치고 필수매체 등극」,『미디어스』, 2018년 2월 1일자.
  16. 「[드라마추천] ‘계룡선녀전’ 말고 또? 김비서, 강남미인 뒤이을 편성확정 ‘웹툰 드라마’ 6개」, 『팸타임즈』,2018년 10월 12일자.
Information
  • Publisher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 Publisher(Ko)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 Journal Title(Ko) :문화콘텐츠연구
  • Volume : 15
  • No :0
  • Pages :105-132